스마트 UI/UX 컨텐츠 (2기) - 시각디자인 리서치 조사
시각디자인 리서치 개요
리서치는 모든 학문 분야에서 활용되는 방법으로 현재의 상황 분석 및 필요로 하는 분석
결과물을 찾아 나아가는 과정이다. 리서치를 통해 논리적인 근거를 찾고 다양한 현상을
개념화 할 뿐만 아니라, 수집된 자료를 취합하고 분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발표된 논
문, 언론 기사 등의 문헌 자료만이 아니라 관찰, 인터뷰, 설문 조사 등을 통해 정성적인
결과를 도출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시각디자인 리서치는 시각디자인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 디자인 영역이나 감성적, 문
화적, 기술적, 인지적 요인에 대한 분석과 판단의 근거로서 디자인 전략 수립을 위한 핵심
적인 단계이다. 리서치 결과에 따라 명확한 디자인 콘셉트를 수립할 수 있지만, 리서치 결
과의 오류는 그릇된 콘셉트(Concept)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1. 리서치의 자료 종류
리서치를 통한 자료는 크게 정량적인 자료와 정성적인 자료로 나눌 수 있다. 정량적인 자
료는 정부나 연구 기관, 기업의 공시 자료 등의 수치화된 데이터를 말하며, 정성적 자료는
사회적 현상이나 사람의 감정과 같이 수치화하지 못하는 자료를 말한다.
2. 리서치의 실행 종류
리서치의 실행은 출판물, 논문, 신문·잡지 기사 등의 문헌 조사와, 사물의 속성을 수치화
하는 대상물을 측정하는 조사, 사람들의 행동과 생각을 물어보는 사용자 조사로 나눌 수
있다. 문헌 조사와 측정 조사의 경우 데이터가 도표와 수치가 쉽게 정리될 수 있지만 사
람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는 인터뷰와 관찰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해야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3. 리서치 방법론의 종류
디자인 분야에서 주로 활용하는 리서치 방법론은 시장조사, 문화기술적인 조사, 사용자 경
험 조사, 전형적 디자인 조사, 혼합형 조사 등이 있으며 디자인 프로젝트 규모와 특성에
따라 선택하여 적용 할 수 있다.
(1) 시장 조사
시장 조사는 고객에 대한 정보를 모으는 모든 조직적 활동을 말한다.
(2) 문화 기술적인 조사(Ethnography)
문화 기술적인조사는 문화와 인간 행동 사이의 관계를 보는 인류학에 뿌리를 두고 있
는 연구 유형이다. 집단이나 개인의 관점, 어디에서 보든 이런 연구의 관찰은 사고와
행동, 활동에 기반을 두고 사람들을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