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UI/UX 컨텐츠 개발자 양성과정(2기) 인트라넷

고용노동부지정 국가기간전략훈련직종 우수교육기관

(디지털디자인)스마트 UI/UX 컨텐츠 개발자 양성과정(2기) 자세히보기

카테고리 없음

스마트 UI/UX 컨텐츠 (2기) - 시각디자인 리서치 분석

천리안샘 2021. 10. 14. 15:19

 시각디자인 리서치를 위한 요건
디자인 리서치를 통해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이미지의 수집만이 아니라 다양
한 분야에서 자료를 조사하고, 수집된 자료의 정교한 분석이 필요하다. 디자인 리서치는
단순히 디자인의 시각적인 부분만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 문화, 철학, 공학, 과학,
마케팅, 경제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문제의 핵심을 파악할 수
있는 사고력이 필요하다. 이 과정을 통해 디자인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판단과 결정을 돕
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근거 자료를 제공한다.
시각디자인에서의 리서치는 이러한 범위와 영역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정량적인 자료와
정성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그 결과를 프로젝트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체화하는 과정이다.


1. 리서치를 위한 검색 역량
(1) 인터넷 검색
인터넷을 이용한 검색 능력은 리서치의 가장 기본적인 능력이다.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의 국내 포털만이 아니라 구글, 야후 등의 포털 사이트와 핀터레스트, 텀블러 등의
블로그와 SNS 사이트 등의 해외 사이트를 활용해 다양하고 방대한 지식을 검색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2) 도서관 소장 문헌 검색
국립도서관이나 국회도서관 등에 소장된 도서 및 학술 자료 등을 검색할 수 있는 능
력과, 기본적인 도서관의 서가 시스템을 이해하고 도서를 검색할 수 있는 능력은 기본
적인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2. 리서치 정리 역량
인터넷을 이용해 검색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저장할 수 있는 능력과 스크린 캡처
나 이미지 저장 등의 기초적인 컴퓨터 활용 능력이 필요하다.
수집된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문서화할 수 있는 한글, 워드(Microsoft Word) 등의
문서 작성 프로그램과, 엑셀(Excel)과 같은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 파워포인트(Power
Point), 키노트(Keynote), 아크로뱃(Adobe Acrobat) 등의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하
여 자료를 정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 정성적·정량적 접근을 통한 시장 수요 조사
시장 수요 조사는 어떤 제품을 누가(Who), 무엇을(What), 어떻게(How) 사용할 것인가의 답
을 도출하는 과정이다. 특히, 최근의 기술 환경은 매우 빠르게 변하고 있기 때문에 수요에
대한 예측은 결과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왜냐하면 부적절한 수요의 예측은 단순히
하나의 제품의 성공과 실패만이 아니라 기업의 존립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시장수요 조사는 마케팅에서 주로 사용하는 기법이지만, 시각디자인 리서치에서는 구체적
인 사용자의 속성을 이해하고 사용자의 니즈(Needs)를 이해하기 위해 진행된다.


1. 정성적 접근
(1) 전문가의 의견 활용
데이터의 수집이 쉽지 않은 상황이나 관련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전문가의 의견
을 통해 향후 전망과 변화를 이해하는 과정이다. 여러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
렴하여 공통된 전망치를 도출하는 방식이다.
(2) 설문을 통해 소비자의 필요 요건을 예측하는 방법
다양한 제품에 대한 우선순위를 소비자가 직접 선택하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필요를
직접적으로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소비자의 선호도를 바탕으로 수요와
시장의 특징을 찾아낼 수 있다.
(3) 비교 유추법(Analogy)
예측하고자 하는 대상의 품목이 새로 만들어지는 과거의 자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
에 유사한 품목의 시장 상황을 다른 시장의 상황에서 찾아보고 미래의 시장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자료는 전문 연구 기관의 해외 동향 자료에서 쉽게 찾
을 수 있다.


2. 정량적 접근
(1) 시계열 분석(Time series model)
시계열 분석은 과거의 자료를 분석하여 특정 패턴을 발견하고 변화의 추이에 따라 상
황을 설명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기술의 변화, 소비 형태의 변동,
인구 변동 등의 자료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2) 확산 모형(Pattern of spreading)
확산 모형은 신제품의 도입에서부터 포화 상태까지의 전 과정을 수학적으로 계산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확산 모형은 시장의 다양한 환경을 수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사이클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